반응형 아톰 이펙트1 [React] Recoil의 effects를 이용해 localStorage, sessionStorage에 데이터 저장하기 ⚡ 전역 상태 Web Storage에 저장하기 리액트에서 전역 상태 관리를 위해 Recoil을 도입해서 사용했습니다. 여러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서버 데이터를 전역으로 저장했지만 새로고침을 하게 되면 데이터가 증발하고 다시 API를 호출해서 웹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그럼 Recoil Effects를 이용해 Web Storage인 Local Storage와 Session Storage에 자동으로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Web Storage Web Storage는 웹 브라우저에 직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으로 Local Storage와 Session Storage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쿠키는 4KB의 적은 용량이지만 웹 스토리지는 5MB라는 넉넉한 용량을 사.. 2023. 3. 22.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