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sp3

[JSP] 서블릿(Servlet)과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의 개념 서블릿(Servlet)이란 서블릿이란 Dynamic Web Page를 만들 때,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입니다. 이러한 기술은 Dynamic Web Page란 의미 그대로 동적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시점에 페이지를 생성해서 전달해주도록 합니다. 요청이 있으면 응답이 있기 마련이고, 여기에는 이 흐름을 제어할 규칙이 존재합니다. 서블릿에서는 이 규칙들을 웹 동작 시 다양한 요청과 응답에 대해 편리하고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주로 MVC 패턴에서 컨트롤러의 역할 구현을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서블릿의 개념을 알아두면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데이터 처리에 대한 이해가 수월합니다. 서블릿 동작구조 서블릿은 일반적인 자바 코드와 다르지 않지만.. 2022. 2. 16.
[JSP] 쿠키(Cookie)의 개념과 사용법 ⚡️쿠키(Cookie)란 http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요청, 응답 과정을 거치면 연결이 해제되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정보를 쿠키와 세션에 보관해두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쿠키는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로서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함께 전송됩니다.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직접 저장되는 방식이라 세션보다 비교적 보안에 취약하지만 자동 로그인같은 기능을 구현할 때나 세션 사용이 제한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럼 쿠키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쿠키 생성하기 // 쿠키 생성 Cookie cookie = new Cookie("cookieName", "value1"); // 쿠키 값 재설정 cookie.setValue("value2"); // 쿠키 유지 시간.. 2022. 2. 13.
[JSP] 세션(session)의 개념과 사용법 ⚡️ 세션(session)이란 세션이란 웹 컨테이너에서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서버에 보관하는 기능입니다. 1회성으로 연결이 종료되는 http 프로토콜의 단점을 보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접속을 유지시켜줍니다. 웹 서버는 웹 컨테이너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정보는 브라우저를 닫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 때 비로소 삭제가 이루어집니다.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쿠키와는 달리 세션은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비교적 보안이 좋습니다. 그럼 세션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세션에 값 저장하기 session.setAttribute(이름, 값) setAttribute 메소드는 이름, 값 쌍으로 세션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세션에서.. 2022. 2. 12.
반응형

오픈 채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