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재귀적인 패턴으로 별을 찍어 보자. N이 3의 거듭제곱(3, 9, 27, ...)이라고 할 때, 크기 N의 패턴은 N×N 정사각형 모양이다.
크기 3의 패턴은 가운데에 공백이 있고, 가운데를 제외한 모든 칸에 별이 하나씩 있는 패턴이다.
***
* *
***
N이 3보다 클 경우, 크기 N의 패턴은 공백으로 채워진 가운데의 (N/3)×(N/3) 정사각형을 크기 N/3의 패턴으로 둘러싼 형태이다. 예를 들어 크기 27의 패턴은 예제 출력 1과 같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3의 거듭제곱이다. 즉 어떤 정수 k에 대해 N=3k이며, 이때 1 ≤ k < 8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번째 줄까지 별을 출력한다.
📌 예제 입력 1 복사
27
📌 예제 출력 1 복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과
별 하나하나 출력하면 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
그래서 StringBuilder와 BufferedWriter를 사용해 출력하였는데
StringBuilder는 속도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고
BufferedWriter는 메모리면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OutputStreamWriter;
public class Main {
static String[][] arr = null;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size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 = new String[size][size];
star(0, 0, size);
for(int i=0;i<size;i++){
for(int j=0;j<size;j++){
// null 상태로 있는 빈공간을 채워주기
bw.write(arr[i][j] != null ? arr[i][j] : " ");
}
bw.write("\n");
}
bw.flush();
}
public static void star(int x, int y, int size) {
// 최소 단위(1)로 분할했으면 별 저장
if(size == 1){
arr[x][y] = "*";
return;
}
// size가 1이 될 때까지 3X3 크기로 계속해서 분할
for(int i=0; i<3; i++){
for(int j=0; j<3; j++){
// 가운데 빈공간이면 건너뛰기 (null 상태로 유지하기)
if(!(i==1 && j==1))
// x, y 값을 계속 유지하며 재귀 호출
star(x + i*size/3, y + j*size/3, size/3);
}
}
}
}
⚡️문제풀이
이 풀이는 일종의 분할 정복법으로 정복할 수 있는 최소 단위까지 분할해 주어야 합니다.
한 변의 길이가 N이라면 N = 3^k의 입력이 들어옵니다.
// size가 1이 될 때까지 3X3 크기로 계속해서 분할
for(int i=0; i<3; i++){
for(int j=0; j<3; j++){
// 가운데 빈공간이면 건너뛰기 (null 상태로 유지하기)
if(!(i==1 && j==1))
// x, y 값을 계속 유지하며 재귀 호출
star(x + i*size/3, y + j*size/3, size/3);
}
}
별을 찍기위한 최소의 형태가 아래와 같이 가운데가 비어있는 3X3 형태이므로
3X3 형태로 계속해서 가로 세로 3분할해주고 변의 길이(size)를 N/3 만큼 재귀 호출해줍니다.
또한 별을 찍기 위해 x, y좌표를 다음과 같이 계속해서 더해줍니다.
x + i*size/3, y + j*size/3
for(int i=0;i<size;i++){
for(int j=0;j<size;j++){
// null 상태로 있는 빈공간을 채워주기
bw.write(arr[i][j] != null ? arr[i][j] : " ");
}
bw.write("\n");
}
bw.flush();
가운데 빈칸은 빈칸에 해당하는 좌표가 반복문에 들어올 시 건너뛰게 해 Null 값을 유지시키도록 한 뒤
출력할 때 삼항연산자로 빈칸을 입력해주었습니다.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알고리즘 9020번 골드바흐의 추측 문제풀이 - 자바(JAVA) (0) | 2022.06.01 |
---|---|
분할 정복법(Divide & Conquer)과 합병 정렬(Merge Sort) (0) | 2022.02.22 |
백준 알고리즘 2675번 문제풀이 - 자바(JAVA) (0) | 2021.12.27 |
백준 알고리즘 11720번 문제풀이 - 자바(JAVA) (0) | 2021.12.26 |
백준 알고리즘 11654번 아스키코드 변환 - 자바(JAVA) (0) | 2021.12.26 |
댓글